programming
-
[Linux] grep 전후 라인 같이보기 #2programming/OS 2020. 12. 13. 22:00
grep 전후 라인 같이 보기 #1 grep으로 로그를 볼 때 -A(After), -B(Before) 옵션을 사용해서 앞 또는 뒤 라인을 같이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다. 이때는 각각 옵션을 사용해서 앞 또는 뒤만 볼 수 있었는데, grep 전후 라인을 한 번에 같이 보고 싶다면, 두 옵션을 같이 사용하면 된다. $ cat testlog.log | grep -A 5 -B 5 "2020-11-26 18:20" 그러면 아래와 같은 실행결과가 나온다. grep 된 텍스트 앞뒤 라인을 한 번에 볼 수 있다.
-
[Linux] grep 전후 라인 같이 보기programming/OS 2020. 12. 10. 21:29
서버 작업을 하다 보면 로그를 보는 작업을 많이 하는데, tail, cat 등으로 파일의 로그를 출력해서 볼 수 있다. 그리고 tail, cat과 같이 grep을 이용하면 특정 단어까지 같이 볼 수 있다. $ cat testlog.log | grep ': update' 위와 같이 설정하면 testlog.log의 파일에서 출력된 내용 중 ': update'를 포함한 내용을 볼 수 있다. 출력된 내용은 아래와 같다. 해당 내용은 로그를 한 줄씩 찍을 때는 유용하지만, 특정 키워드를 중심으로 앞뒤의 로그를 보기에는 부족하다. 이때 grep -A 또는 grep -B 옵션을 주면 전 후 로그를 같이 볼 수 있다. 먼저 -A는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. $ cat testlog.log | grep -A 10 '..
-
[Spring] @PathVariable 기본값 설정하기programming/Spring 2020. 12. 6. 22:00
@Controller에서 파라미터를 받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다. 1. /API_NAME?key1=val1 2. /API_NAME/{value1} 선호하는 방식대로 하면 되겠지만, 여기서는 2번과 관련된 글이다. 2번과 같은 방식으로 받기 위해서는 @Controller에서 @PathVariable을 사용하면 된다. @GetMapping("/test/{cnt}") public String methodName(@PathVariable int cnt){ // TODO.. return "test"; }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, "localhost:8080/test/3"과 같이 호출했을 때 cnt 값이 3이 된다. 하지만, 만약에 "localhost:8080/test"와 같이 변수를 넣어주지 않으면..
-
[Linux] vi .swap 파일 처리하기programming/OS 2020. 12. 2. 22:00
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vi를 자주 사용한다. 사용하다 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볼 때가 있는데, 물론 해당 상황에 대해서 설명은 나와있지만, 처음 접해본다면 충분히 당황할 수 있다. 거기다가 당황해서 아무 키나 눌렀다가는 이러한 화면도 볼 수 있다. 그리고 어떻게든 한번 탈출을 했더라도, 다시 해당 파일을 열면 첫 번째와 같은 상황이 펼쳐진다. 일단 해당 상황은 ".swp" 파일이 생겨서 발생하는 일이다. 파일 리스트를 출력해보면 숨김 파일로 ".txt.swp"파일이 생성되어 있다. 먼저 생성된 파일을 vi로 열어보면 아래 사진과 같이 뭔지 알 수 없는 것들이 뜬다. 이럴 때는 ".txt.swp"파일을 삭제해주면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. $ rm .txt.swp 그리고 위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더라도, ..
-
[Spring] 코로나 감염 현황 OpenApi 사용하기programming/Spring 2020. 11. 25. 22:00
완성된 Sample 프로젝트는 아래 방법으로 받을 수 있다. >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devdevdev09/Covid19-Korea-OpenApi-Sample.git 샘플 프로젝트는 README.md에 기본적인 사용법을 작성해두었다. 한 번 더 적어본다면, 아래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. 1. 코로나19감염현황에서 api 활용 신청 2. 신청 승인 후 인증키를 application.yml의 openapi>serivce>key에 입력 3. 프로그램을 실행 하고 localhost:20019/covid19 호출 먼저 신청은 자동승인으로 신청 후 바로 인증키를 발급받을 수 있었던 것 같다. 그리고 해당 인증키를 application.yml에 openapi > service > key..
-
[Spring] xml 데이터 처리하기2 (코로나 OpenAPI)programming/Spring 2020. 11. 23. 14:33
[Spring] xml 데이터 처리하기 스프링에서 xml 처리를 위한 방법을 정리해본다. 1. build.gradle 파일을 작성한다. compile group: 'com.fasterxml.jackson.dataformat', name: 'jackson-dataformat-xml', version: '2.11.3' 2. 아래 코드처럼.. leeborn.tistory.com 위 글에선 xml을 처리하는 기본적인 사용법만을 정리했다. 이번엔 실제 OpenAPI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방법을 정리해본다. OpenAPI는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. 그중에서도 현재 써볼 만한 OpenAPI는 코로나 감염 현황 API가 있다. 공공데이터 포털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『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..
-
[Spring] xml 데이터 처리하기programming/Spring 2020. 11. 9. 22:44
스프링에서 xml 처리를 위한 방법을 정리해본다. 1. build.gradle 파일을 작성한다. compile group: 'com.fasterxml.jackson.dataformat', name: 'jackson-dataformat-xml', version: '2.11.3' 2. 아래 코드처럼 사용하는데, 매개변수는 xml은 String xml = ""; 등의 xml 형식의 String이다. Response도 내가 사용하는 xml의 형태를 정의한 클래스이므로, Response 대신 자신에게 맞는 클래스 타입을 사용하면 된다. public Response parser(String xml) { ObjectMapper xmlMapper = new XmlMapper(); Response response = n..
-
[Linux] 리눅스 별칭 등록(alias)programming/OS 2020. 11. 7. 23:35
리눅스에서 alias는 명령어들의 별칭을 정의하는 기능이다. AWS에서 처음 alias를 쳐보면 아래와 같이 뜬다.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있는 alias들이다. alias를 사용자가 추가하기 위해서는 alias 별칭='수행할 기능' 정도로 적으면 된다. $ alias cdlog='cd /home/ec2-user/logs/crontab' 위와 같이 작성하면 cdlog만 입력해도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할 수 있다. 그리고 alias를 입력하면 위에서 등록한 별칭을 볼 수 있다.